비싸지는 집값, 집을 사기는 커녕 전세보증금도 내 돈으로 모두 마련하기는 벅찬 것이 현실입니다.
결혼 전인 싱글뿐 아니라 신혼부부도 둘의 자금을 모두 합쳐도 쉽지 않습니다.
이럴 때 이용하는 것이 은행의 전세대출인데요.
요즘처럼 금리가 높은 시대에는 전세대출을 받아도 매달 내야할 이자가 만만치 않을 텐데요.
이러한 이자를 조금이나마 낮춰줄 다양한 대출상품들이 있으니 살펴보겠습니다.
중소기업 청년이라면, [중소기업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대출]
- 대상자: 중소/중견기업에 재직중이거나, 중소기업진흥공단/신용보증기금/기술보증기금의 청년창업지원을 받는 자로 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(병역의무 이행한 경우 최대 만 39세까지)인 청년
- 요건: 연소득 부부합산 5,000만원 이하(외벌이 3,500만원 이하), 순자산가액 3억 2,500만원 이하인 무주택세대주
- 대상주택: 보증금 2억원 이하, 전용면적 85㎡이하(주거용 오피스텔 포함)
- 혜택: 최대 1억원까지, 최대 10년간, 연 1.2% 금리 적용(단 생애 1회만 가능)
신혼부부라면, [신혼부부 전용 전세자금대출]
- 대상자: 신혼부부(혼인기간 7년 이내 또는 3개월 이내 결혼예정자)
- 요건: 연소득 부부합산 6,000만원 이하, 순자산가액 3억 2,500만원 이하인 무주택세대주
- 대상주택: 수도권 보증금 4억원, 비수도권 보증금 3억원 이하, 전용면적 85㎡이하(주거용 오피스텔 포함)
- 혜택: 수도권은 최대 3억원, 비수도권 최대 2억원까지, 최대 10년간, 연 1.2~2.1% 금리 적용
부부합산 연소득 | 임차보증금 | |||
5,000만원 이하 | 1억원 이하 | 1억 5,000만원 이하 | 1억 5,000만원 초과 | |
2,000만원 이하 | 1.2% | 1.3% | 1.4% | 1.5% |
4,000만원 이하 | 1.5% | 1.6% | 1.7% | 1.8% |
6,000만원 이하 | 1.6% | 1.9% | 2.0% | 2.1% |
근로자 서민이라면, [버팀목전세자금대출]
- 대상자: 근로자 및 서민
- 요건: 연소득 부부합산 5,000만원 이하, 순자산가액 3억 2,500만원 이하인 무주택세대주
- 대상주택: 23년 7월까지 갱신계약이 만료되는 임차인 대상으로,
수도권 보증금 4억 5천만원, 비수도권 보증금 2억 5천만원 이하, 전용면적 85㎡이하(주거용 오피스텔 포함)
- 혜택: 수도권은 최대 1억 8천만원, 비수도권 최대 1억 2천만원까지, 최대 10년간, 연 1.8~2.4% 금리 적용
부부합산 연소득 | 임차보증금 | ||
5,000만원 이하 | 1억원 이하 | 1억원 초과 | |
2,000만원 이하 | 1.8% | 1.9% | 2.0% |
4,000만원 이하 | 2.0% | 2.1% | 2.2% |
6,000만원 이하 | 2.2% | 2.3% | 2.4% |
전세자금대출까지 모두 받았다면, 내 전세금을 지켜주는 '전세보증금 반환보증'도 꼭 확인하세요!
2023.01.28 - [부동산 기본 상식] - [부동산 상식] 소중한 전세금을 지켜줘요: 전세보증금 반환보증
[부동산 상식] 소중한 전세금을 지켜줘요: 전세보증금 반환보증
간혹 신문을 보다 보면, 전세로 들어가 살던 집이 경매로 넘어가 보증금을 날리거나 전세 계약 만료 이후에도 제대로 전세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했다는 기사를 접하곤 하는데요. 티끌 모아 마련
win-for.tistory.com
'부동산 기본 상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부동산 상식] 재건축과 재개발에서 유의할 점, 용적률과 대지지분 (0) | 2023.03.16 |
---|---|
[부동산 상식] 아파트 매매 계약 이후, 중도금과 잔금 치르는 전략! (0) | 2023.03.01 |
[부동산 상식] 아파트 분양 당첨 이후, 계약금부터 잔금까지 어떻게 내야할까? (0) | 2023.02.23 |
[부동산 상식] 소중한 전세금을 지켜줘요: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(0) | 2023.01.28 |
[부동산 상식] 재건축과 재개발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? (0) | 2023.01.19 |
댓글